도쿄올림픽에서는 왜 러시아를 쓰지 못하죠? [OTT네비]
뭘 볼지 항상 고민인 당신 위한 OTT Navigation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이카루스'
2020 도쿄올림픽에 출전한 러시아 선수단
소속을 '러시아'라 칭하지 못하는 이유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이카루스'
2020 도쿄올림픽에 출전한 러시아 선수단
소속을 '러시아'라 칭하지 못하는 이유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이란 이름으로 2020 도쿄 올림픽에 출전한 선수들/사진=TASS
스포츠 강국 러시아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이어 2020 도쿄올림픽에서도 '러시아 올림픽 선수단'이라는 이름으로 입장했다. 러시아 국기도 사용하지 못했다. 금메달을 목에 걸 때에도 러시아 국기가 아닌 오륜기가 올라갔다.
23일 일본 도쿄 신주쿠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0 도쿄올림픽 개막식에서 러시아 선수단이 입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사진=영화 '이카루스'
"러시아, 국가적으로 도핑 관리"
/사진=영화 '이카루스'
브라이언은 자신의 우상이었지만, 도핑 논란으로 전락한 사이클 선수 랜스 암스트롱 사건을 지켜보며 "랜스 암스트롱이 500번이 넘는 도핑검사에서 걸리지 않았다면, 시스템에 결함이 있는 것"이라는 의문을 품게 된다. 그래서 암스트롱과 비슷한 스케줄로 경기를 준비하고, 러시아 반도핑연구소 소장인 그레고리를 소개 받아 도핑테스트에 걸리지 않는 약물을 투여받으며 경기에 출전했다.
경기 결과는 놀라웠지만, 브라이언은 자전거에 문제가 생기면서 기대했던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이후 러시아에서 대형 도핑 스캔들이 불거지면서 상황은 반전됐다. 단순한 개인의 도핑 실험이 국가적인 도핑 조작 사건으로 번진 것.
/사진=영화 '이카루스'
동료가 심장마비로 돌연사하는 상황까지 발생하면서 그레고리는 생명의 위협으로 겁에 질린 모습을 보였다. "반려견 시터까지 할 수 있으니 당신 집으로 나를 데려가 달라"고 브라이언에게 요청했고, 그의 도움으로 결국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이동하는데 성공했다.
체포 위기 속에 그레고리는 러시아 도핑 폭로를 제안 받는다. 뉴욕타임즈를 통해 폭로된 러시아 도핑 스캔들의 시작이었다. 그레고리는 인터뷰를 통해 "소치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러시아에서 더욱 조직적으로 도핑 프로그램이 구현됐다"며 "러시아는 국제 대회가 시작됐을 때부터 정부 차원에서 도핑 관리를 해왔다"고 주장했다.
감시자 있어도 대놓고 빼돌리기, 어떻게 가능했나
소치 동계 올림픽 당시 도핑 센터에 함께 근무했던 연구원들은 자신 눈앞에서 러시아의 도핑 프로그램이 진행됐다는 것에 분노했다. 그리고리는 서로를 견제하기 위해 각국에서 파견된 연구원들의 눈을 피하기 위해 연구소 뒤편에 비밀 연구소를 짓고, 소변이 담긴 병만 이동시킬 수 있는 작은 통로를 만들어 소변을 바꿔치기 했다고 전했다. 심지어 도핑에 쓰이는 병은 뚜껑을 열 경우 망가지도록 설계돼 있는데, 병뚜껑이 파괴되지 않도록 열 수 있는 방법을 만들으 내는 게 당시 연구원들의 핵심 과제였다고 증언했다.
/사진=영화 '이카루스'
'이카루스' 그 후
/사진=영화 '이카루스'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공식적으로 출전이 금지됐지만 '러시아 선수단'이라는 이름으로 경기에 참여했다. 이를 묵인한 IOC에 대해 일각에서는 '스포츠 강국' 러시아가 불참할 경우 올림픽 흥행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해서 눈감아 주는게 아니냐는 반응도 나왔다.
이하 원문 기사 참조
/사진=영화 '이카루스'
공개일 2017년 8월 4일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별점 IMDB 7.9/10, 로튼토마토 97%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23-02-22 10:48:13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