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급성장 ‘구독경제’, 해외진출도 확대 중”
2021.02.15 09:37 입력
글로벌 구독경제 쑥쑥… 우리 기업의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
생필품에서 콘텐츠·소프트웨어 등으로 확장… B2B 거래까지
세계적으로 구독경제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구독 비즈니스 경쟁력 강화도 시급해졌다.
구독 비즈니스란 일정 금액을 내고 정기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업형태다. 음원 스트리밍 사이트의 월정액 상품이 대표적이다. 넷플릭스나 아마존 프라임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밀리의 서재 등 새로운 형태의 구독경제 비즈니스 모델이 자리 잡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최용민)이 15일 발표한 ‘글로벌 구독경제 현황과 우리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 따르면 최근의 디지털 구독경제는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과 플랫폼을 활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온디맨드(On-demand) 소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신문이나 우유 등 전통적인 구독 서비스와 차이가 있다.
전 세계 구독 기반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2018년 132억 달러에서 연평균 68%씩 고속 성장해 2025년에는 4782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이를테면 대표적인 멤버십형 구독 서비스인 아마존 프라임 가입자는 2015년 5400만 명에서 2019년 1억1200만 명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일본의 구독경제 시장도 2017년 8720억 엔(약 80억 달러)에서 2019년 1조 1440억 엔(105억 달러)로 커졌다. 우리나라도 작년 기준 콘텐츠, 생필품, 화장품 등 구독 비즈니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가 70%를 상회할 정도로 구독경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최근 소유보다는 효용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와 클라우드·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 발달에 힘입어 구독경제의 범위도 생필품에서 콘텐츠, 소프트웨어, 가전, 자동차 등으로 확장되는 추세다.
기업들도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등을 구독하는 등 구독경제의 영역은 B2B 거래로도 넓어지고 있다. 대기업들도 풍부한 자원, 다양한 유통채널, 높은 인지도 등을 앞세워 구독 비즈니스를 적극 도입하고 있다.
구독경제 모델로 해외진출 성과를 낸 국내 기업 사례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등 가전 렌탈 기업들은 동남아에서 사업을 확장 중이며 기업용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들도 구독형 서비스로 수출이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보고서는 성공적인 구독경제 모델을 확보하기 위한 요소로 ▷데이터 기반 정보통신(IT) 기술 도입 및 서비스 고도화 ▷새로운 경험과 가치 창출 ▷적정한 가격 설정 등을 꼽았다.
무역협회 심혜정 수석연구원은 “구독 비즈니스는 제품 판매와 서비스를 연계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과 동시에 고정고객을 확보해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어 글로벌 기업들도 속속 도입하고 있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경쟁력 있는 구독경제 모델 개발에 지속 노력하고 정부도 규제 완화, 수출지원 확대 등으로 구독경제 생태계 활성화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채 기자 weeklyctrade@kita.net